맨위로가기

중국 FA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FA컵은 1956년 시작된 중국의 축구 컵 대회로, 문화 대혁명 이후 재편되어 1984년 중국 FA컵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1995년 프로 축구 리그가 설립된 후 현재의 형태로 정착되었으며, 슈퍼 리그, 갑급 리그, 을급 리그 클럽과 지역 축구 협회 대표 클럽이 참가하는 오픈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우승팀은 AFC 챔피언스 리그 출전 자격을 얻으며, 산둥 타이산이 8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 축구에 관한 - 중국 슈퍼리그
    중국 슈퍼리그는 중국 축구 협회가 창설한 프로 축구 리그로,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리그의 위상을 높였으나 현재는 규제와 재정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 축구에 관한 - 상하이 선화
    상하이 선화는 상하이시를 연고로 하는 중국 프로 축구 클럽으로, 1993년 창단되어 중국 슈퍼리그에 참가하고 있으며, 갑급 A리그 우승, 상하이 롄청 인수 합병, 뤼디그룹 인수 등의 역사를 거쳐 상하이 선화 FC로 명칭을 변경했다.
중국 FA컵
기본 정보
중국 FA컵 로고
로고
창설1956년 (중국 전국 축구 선수권 대회로 시작)
현재 형식1995년
지역중국
국내 컵중국 FA 슈퍼컵
대륙 컵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현재 우승팀상하이 하이강 (1회 우승)
최다 우승팀산둥 타이산 (8회 우승)
웹사이트cfacup.com
현재 시즌2024년 중국 FA컵
대회 정보
주최중국 축구 협회
참가 팀 수알 수 없음
최근 우승
우승팀상하이 선화 (4회 우승)
연도2023

2. 역사

중국 FA컵은 1956년 중국 전국 축구 선수권 대회(취안궈 쭈추 진뱌오사이/全国足球锦标赛중국어)로 시작되었다.[1] 문화 대혁명 이후 재편되었고, 1984년에 처음으로 중국 FA컵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1987년 제6회 중화인민공화국 전국 운동회로 인해 폐지되었고, 1990년부터 1992년까지 아시안 컵 위너스컵의 예선전으로 중국 전국 컵 위너스컵(취안궈 쭈추 유성저 베이사이/全国足球优胜者杯赛중국어)으로 다시 재편되었다.

현재의 FA컵 형식은 중국에 프로 축구 리그가 설립된 후 1995 시즌에 시작되었다. 2007년에는 중국 축구 협회2008년 하계 올림픽 전략으로 인해 잠정적으로 폐지되었다가,[2] 2011년에 다시 부활했다. 1995년에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중단되었다가, 2011년부터 재개되었다.[16]

일본의 천황배와 마찬가지로, 중국 프로 축구 리그 (슈퍼 리그·갑급 리그·을급 리그)의 클럽과 각 지역 축구 협회 대표 클럽이 참가하는 오픈 토너먼트로, 준결승까지는 1회전 방식의 녹아웃 방식, 결승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된다. 우승 클럽에게는 AFC 챔피언스 리그 출전 자격이 주어진다.

시즌우승점수준우승
1956상하이3–0톈진
1960톈진1–0광둥
1984랴오닝5–0광둥
1985베이징4–1광둥
1986랴오닝1–0베이징
1990바이야이1–1
(승부차기 3–0)
다롄
1991상하이1–0광저우 바이윈
1992다롄1–1
(승부차기 4–2)
광둥



1995년 중국 FA컵 결승전에서 산둥 장준 타이산이 상하이 선화를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에는 베이징 현대가 산둥 타이산을 4-1로 이기고 우승했다. 1997년에도 베이징 현대상하이 선화를 2-1로 누르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1998년 결승전에서는 상하이 선화랴오닝을 상대로 1, 2차전 합계 4-2 (1차전 2-1 승, 2차전 2-1 승)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1999년에는 산둥 루넝 타이산이 다롄 스더와 1, 2차전 합계 4-3 (1차전 1-1 무, 2차전 3-2 승)으로 우승했다.

2000년에는 충칭 룽신이 베이징 현대를 상대로 1, 2차전 합계 4-2 (1차전 0-1 패, 2차전 4-1 승)로 승리하며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001년 다롄 스더베이징 현대를 1, 2차전 합계 4-1 (1차전 1-0 승, 2차전 3-1 승)로 꺾고 우승했다. 2002년에는 칭다오 중넝이 랴오닝과 1, 2차전 합계 3-3 (1차전 3-1 승, 2차전 0-2 패)을 기록,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우승을 차지했다.

2003년 베이징 현대다롄 스더를 3-0으로 꺾고 우승했다. 2004년에는 산둥 루넝이 쓰촨 관청을 2-1로 이기고 우승컵을 차지했다. 2005년 다롄 스더는 산둥 루넝을 1-0으로 꺾고 우승했다. 2006년 산둥 루넝은 다롄 스더를 2-0으로 이기고 우승했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는 대회가 중단되었다. 2011년 대회는 재개되었고, 톈진 터다가 산둥 루넝을 2-1로 꺾고 우승했다. 2012년에는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가 베이징 런허를 1, 2차전 합계 5-3 (1차전 1-1 무, 2차전 4-2 승)으로 이기고 우승했다. 2013년 베이징 런허는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를 상대로 1, 2차전 합계 3-2 (1차전 2-0 승, 2차전 1-2 패)로 우승을 차지했다.

2014년에는 산둥 루넝이 장쑤 쑤닝을 1, 2차전 합계 5-4(1차전 4-2, 2차전 1-2)로 꺾고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2015년 장쑤 쑤닝은 상하이 뤼디 선화를 상대로 연장전 접전 끝에 1-0 (1, 2차전 합계, 1차전 0-0 무)으로 승리하며 우승했다. 2016년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는 장쑤 쑤닝과 1, 2차전 합계 3-3 (1차전 1-1 무, 2차전 2-2 무)을 기록,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우승을 차지했다.

2017년 상하이 뤼디 선화는 상하이 상강을 상대로 1, 2차전 합계 3-3 (1차전 1-0 승, 2차전 2-3 패)을 기록,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우승했다. 2018년에도 베이징 시노보 궈안이 산둥 루넝과 1, 2차전 합계 3-3 (1차전 1-1 무, 2차전 2-2 무)으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019년 결승전에서는 상하이 뤼디 선화가 산둥 루넝을 1, 2차전 합계 3-1 (1차전 0-1 패, 2차전 3-0 승)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20년에는 산둥 루넝 타이산이 장쑤 쑤닝을 2-0으로 이기고 우승했다. 2021년 산둥 타이산은 상하이 하이강을 1-0으로 꺾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022년 산둥 타이산은 저장 FC를 2-1로 이기고 우승했다.

2023년 결승전에서는 상하이 선화가 산둥 타이산을 1-0으로 꺾고 우승하였다. 2024년에는 상하이 하이강이 산둥 타이산을 3-1로 이기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 1. 초기 (비프로)

1956년 상하이가 톈진을 3-0으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60년에는 톈진이 광둥을 1-0으로 이기고 우승했다. 1984년 랴오닝이 광둥을 5-0으로 대파하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1985년에는 베이징이 광둥을 4-1로 꺾고 우승했다. 1986년 랴오닝은 베이징을 1-0으로 누르고 다시 한번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 바이야이는 다롄과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0으로 승리하여 우승했다. 1991년 상하이광저우 바이윈을 1-0으로 제압하고 우승했다. 1992년 다롄은 광둥과 1-1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하며 우승컵을 차지했다.

시즌우승점수준우승
1956상하이3–0톈진
1960톈진1–0광둥
1984랴오닝5–0광둥
1985베이징4–1광둥
1986랴오닝1–0베이징
1990바이야이1–1
(승부차기 3–0)
다롄
1991상하이1–0광저우 바이윈
1992다롄1–1
(승부차기 4–2)
광둥


2. 2. 프로화 이후

1995년 중국 FA컵 결승전에서 산둥 장준 타이산이 상하이 선화를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에는 베이징 현대가 산둥 타이산을 4-1로 이기고 우승했다. 1997년에도 베이징 현대상하이 선화를 2-1로 누르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1998년 결승전에서는 상하이 선화랴오닝을 상대로 1, 2차전 합계 4-2 (1차전 2-1 승, 2차전 2-1 승)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1999년에는 산둥 루넝 타이산이 다롄 스더와 1, 2차전 합계 4-3 (1차전 1-1 무, 2차전 3-2 승)으로 우승했다.

2000년에는 충칭 룽신이 베이징 현대를 상대로 1, 2차전 합계 4-2 (1차전 0-1 패, 2차전 4-1 승)로 승리하며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001년 다롄 스더베이징 현대를 1, 2차전 합계 4-1 (1차전 1-0 승, 2차전 3-1 승)로 꺾고 우승했다. 2002년에는 칭다오 중넝이 랴오닝과 1, 2차전 합계 3-3 (1차전 3-1 승, 2차전 0-2 패)을 기록,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우승을 차지했다.

2003년 베이징 현대다롄 스더를 3-0으로 꺾고 우승했다. 2004년에는 산둥 루넝이 쓰촨 관청을 2-1로 이기고 우승컵을 차지했다. 2005년 다롄 스더는 산둥 루넝을 1-0으로 꺾고 우승했다. 2006년 산둥 루넝은 다롄 스더를 2-0으로 이기고 우승했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는 대회가 중단되었다. 2011년 대회는 재개되었고, 톈진 터다가 산둥 루넝을 2-1로 꺾고 우승했다. 2012년에는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가 베이징 런허를 1, 2차전 합계 5-3 (1차전 1-1 무, 2차전 4-2 승)으로 이기고 우승했다. 2013년 베이징 런허는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를 상대로 1, 2차전 합계 3-2 (1차전 2-0 승, 2차전 1-2 패)로 우승을 차지했다.

2014년에는 산둥 루넝이 장쑤 쑤닝을 1, 2차전 합계 5-4(1차전 4-2, 2차전 1-2)로 꺾고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2015년 장쑤 쑤닝은 상하이 뤼디 선화를 상대로 연장전 접전 끝에 1-0 (1, 2차전 합계, 1차전 0-0 무)으로 승리하며 우승했다. 2016년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는 장쑤 쑤닝과 1, 2차전 합계 3-3 (1차전 1-1 무, 2차전 2-2 무)을 기록,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우승을 차지했다.

2017년 상하이 뤼디 선화는 상하이 상강을 상대로 1, 2차전 합계 3-3 (1차전 1-0 승, 2차전 2-3 패)을 기록,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우승했다. 2018년에도 베이징 시노보 궈안이 산둥 루넝과 1, 2차전 합계 3-3 (1차전 1-1 무, 2차전 2-2 무)으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019년 결승전에서는 상하이 뤼디 선화가 산둥 루넝을 1, 2차전 합계 3-1 (1차전 0-1 패, 2차전 3-0 승)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20년에는 산둥 루넝 타이산이 장쑤 쑤닝을 2-0으로 이기고 우승했다. 2021년 산둥 타이산은 상하이 하이강을 1-0으로 꺾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022년 산둥 타이산은 저장 FC를 2-1로 이기고 우승했다.

2023년 결승전에서는 상하이 선화가 산둥 타이산을 1-0으로 꺾고 우승하였다. 2024년에는 상하이 하이강이 산둥 타이산을 3-1로 이기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3. 역대 결승전 결과

wikitable

시즌우승점수준우승
1995산둥 장쥔 타이산2 - 0상하이 선화
1996베이징 현대4 - 1산둥 타이산
1997베이징 현대2 - 1상하이 선화
1998상하이 선화4 - 2랴오닝
1999산둥 루넝 타이산4 - 3다롄 스더
2000충칭 룽신4 - 2베이징 현대
2001다롄 스더4 - 1베이징 현대
2002칭다오 중넝3 - 3(원정)랴오닝
2003베이징 현대3 - 0다롄 스더
2004산둥 루넝2 - 1쓰촨 관청
2005다롄 스더1 - 0산둥 루넝
2006산둥 루넝2 - 0다롄 스더
2011톈진 터다2 - 1산둥 루넝
2012광저우 헝다 타오바오5 - 3구이저우 런허
2013구이저우 런허3 - 2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2014산둥 루넝5 - 4장쑤 쑤닝
2015장쑤 쑤닝1 - 0상하이 뤼디 선화
2016광저우 헝다 타오바오(원) 3 - 3장쑤 쑤닝
2017상하이 뤼디 선화(원) 3 - 3상하이 상강
2018베이징 시노보 궈안(원정) 3 - 3산둥 루넝
2019상하이 뤼디 선화3 - 1산둥 루넝
2020산둥 루넝 타이산2 - 0장쑤 쑤닝
2021산둥 타이산1 - 0상하이 하이강
2022산둥 타이산2 - 1저장 FC
2023상하이 선화1 - 0산둥 타이산


3. 1. 비프로 클럽 기간

1956년 상하이는 톈진을 3-0으로 꺾고 우승했다. 1960년 톈진은 광둥을 1-0으로 이기고 우승했다. 1984년 랴오닝이 광둥을 5-0으로 대파하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1985년에는 베이징이 광둥을 4-1로 꺾고 우승했다. 1986년 랴오닝은 베이징을 1-0으로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 바이야이는 다롄과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0으로 승리하여 우승했다. 1991년 상하이광저우 바이윈을 1-0으로 이기고 우승했다. 1992년 다롄은 광둥과 1-1 무승부 이후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하며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3. 2. 프로 클럽 기간

1995년 산둥 장쥔 타이산이 상하이 선화를 2-0으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1996년과 1997년에는 베이징 현대가 각각 산둥 타이산과 상하이 선화를 꺾고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1998년에는 상하이 선화랴오닝을 상대로 1, 2차전 합계 4-2로 우승했다. 1999년에는 산둥 루넝 타이산이 다롄 스더를 합계 4-3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00년 충칭 룽신이 베이징 현대를 합계 4-2로 꺾고 우승했으며, 2001년에는 다롄 스더베이징 현대를 합계 4-1로 꺾고 우승했다. 2002년에는 칭다오 중넝이 랴오닝을 상대로 합계 3-3을 기록,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우승을 차지했다. 2003년 베이징 현대다롄 스더를 3-0으로 꺾고 우승했다.

2004년 산둥 루넝이 쓰촨 관청을 2-1로 꺾고 우승했으며, 2005년에는 다롄 스더가 산둥 루넝을 1-0으로 꺾고 우승했다. 2006년에는 산둥 루넝이 다롄 스더를 2-0으로 꺾고 다시 우승을 차지했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는 대회가 중단되었다.

2011년 대회가 재개되어 톈진 터다가 산둥 루넝을 2-1로 꺾고 우승했다. 2012년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는 구이저우 런허를 합계 5-3으로 꺾고 우승했으며, 2013년에는 구이저우 런허가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를 합계 3-2로 꺾고 우승했다. 2014년 산둥 루넝은 장쑤 쑤닝을 합계 5-4로 꺾고 우승했다.

2015년 장쑤 쑤닝은 상하이 뤼디 선화를 연장전 끝에 1-0으로 꺾고 우승했으며, 2016년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는 장쑤 쑤닝과 합계 3-3을 기록,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우승을 차지했다. 2017년 상하이 뤼디 선화는 상하이 상강과 합계 3-3을 기록,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우승했다. 2018년 베이징 시노보 궈안은 산둥 루넝과 합계 3-3을 기록,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우승했다.

2019년 상하이 뤼디 선화가 산둥 루넝을 합계 3-1로 꺾고 우승했다. 2020년 산둥 루넝 타이산은 장쑤 쑤닝을 2-0으로, 2021년에는 산둥 타이산이 상하이 하이강을 1-0으로, 2022년에는 산둥 타이산이 저장 FC를 2-1로 꺾고 3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2023년에는 상하이 선화가 산둥 타이산을 상대로 1-0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하였다.

시즌우승점수준우승
1995산둥 장쥔 타이산2 - 0상하이 선화
1996베이징 현대4 - 1산둥 타이산
1997베이징 현대2 - 1상하이 선화
1998상하이 선화4 - 2랴오닝
1999산둥 루넝 타이산4 - 3다롄 스더
2000충칭 룽신4 - 2베이징 현대
2001다롄 스더4 - 1베이징 현대
2002칭다오 중넝3 - 3(원정)랴오닝
2003베이징 현대3 - 0다롄 스더
2004산둥 루넝2 - 1쓰촨 관청
2005다롄 스더1 - 0산둥 루넝
2006산둥 루넝2 - 0다롄 스더
2011톈진 터다2 - 1산둥 루넝
2012광저우 헝다 타오바오5 - 3구이저우 런허
2013구이저우 런허3 - 2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2014산둥 루넝5 - 4장쑤 쑤닝
2015장쑤 쑤닝1 - 0상하이 뤼디 선화
2016광저우 헝다 타오바오(원) 3 - 3장쑤 쑤닝
2017상하이 뤼디 선화(원) 3 - 3상하이 상강
2018베이징 시노보 궈안(원정) 3 - 3산둥 루넝
2019상하이 뤼디 선화3 - 1산둥 루넝
2020산둥 루넝 타이산2 - 0장쑤 쑤닝
2021산둥 타이산1 - 0상하이 하이강
2022산둥 타이산2 - 1저장 FC
2023상하이 선화1 - 0산둥 타이산


4. 클럽별 우승 횟수

순위클럽우승준우승
1산둥 타이산8 (1995, 1999, 2004, 2006, 2014, 2020, 2021, 2022)7 (1996, 2005, 2011, 2018, 2019, 2023, 2024)
2상하이 선화6 (1956, 1991, 1998, 2017, 2019, 2023)3 (1995, 1997, 2015)
3베이징 궈안5 (1985, 1996, 1997, 2003, 2018)3 (1986, 2000, 2001)
4다롄 스더3 (1992, 2001, 2005)4 (1990, 1999, 2003, 2006)
5랴오닝2 (1984, 1986)2 (1998, 2002)
광저우2 (2012, 2016)2 (1991, 2013)
7톈진 진먼 타이거2 (1960, 2011)1 (1956)
8장쑤1 (2015)3 (2014, 2016, 2020)
9상하이 포트1 (2024)2 (2017, 2021)
10베이징 런허1 (2013)1 (2012)
11바이지1 (1990)0
충칭 량장 애슬레틱1 (2000)0
칭다오 하이뉴1 (2002)0
14광둥04 (1960, 1984, 1985, 1992)
15쓰촨 퍼스트 시티01 (2004)
저장01 (2022)



산둥 타이산이 8회 우승과 7회 준우승으로 최다 우승 및 준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상하이 선화는 6회 우승, 베이징 궈안은 5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5. 기타 기록

5. 1. 수상

5. 1. 1. 최우수 선수

wikitable

시즌선수클럽
1995판즈이상하이 선화
1996쑤마오전지난 타이산
1997선쓰상하이 선화
1998하오하이둥다롄 완다
1999쑤마오전산둥 루넝 타이산
2000왕 타오베이징 궈안
2011위다바오[6]톈진 터다
2012루카스 바리오스/Lucas Barrioses[7]광저우 헝다
2013다리오 콩카/Darío Concaes[8]광저우 헝다
2014라이언 맥고원/Ryan McGowan영어[9]산둥 루넝 타이산
2015뎀바 바/Demba Ba프랑스어[10]상하이 그린랜드 선화
2016로저 마르티네스/Roger Martínezes[11]장쑤 쑤닝
2017차오윈딩[12]상하이 그린랜드 선화
2018장시저[5]베이징 시노보 궈안


5. 1. 2. 최우수 감독

wikitable

시즌감독클럽
2012마르첼로 리피/Marcello Lippiit[7]광저우 헝다
2013궁 레이/宫磊중국어[8]구이저우 런허
2014가오 홍보/高洪波중국어[9]장쑤 쑤닝
2015단 페트레스쿠/Dan Petrescuro[10]장쑤 쑤닝
2016루이스 펠리페 스콜라리/Luiz Felipe Scolaript[11]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2017수상 없음
2018


5. 1. 3. 페어플레이상

wikitable

시즌클럽
2011산둥 루넝 타이산[6]
2012산둥 루넝 타이산[7]
2013구이저우 런허[8]
2014칭다오 하이뉴[9]
2015신장 톈산 레오파드[10]
2016광저우 R&F[11]
2017상하이 선신[12]
2018쓰촨 FC[5]


5. 1. 4. 득점왕

시즌득점왕클럽
1995탕샤오청/唐尧东중국어지난 타이산6
1996후윈펑/胡云峰중국어바이야5
리빙광둥 위너웨이
쏭위밍/宋玉明중국어지난 타이산
1997안드레스 올리바스/Andrés Olivas Rubioes베이징 궈안4
카시아노 델발레/Casiano Delvallees
난팡/南方중국어
리피 하다위/Leif Haawduwda광저우 아폴로
1998왕타오다롄 완다7
장위닝랴오닝 FC
1999마크 윌리엄스충칭 환다오6
2000밀렌 게오르기에프/Митко Георгиевbg충칭 롱신7
2001올란도 베르나데스 다 실바/Orlando da Silvapt다롄 스더7
2002존 자이로 트렐레스/Jhon Jairo Trellezes저장 그린타운4
리진위랴오닝 FC
마르코스 로메로 봉핌/Marcos Romero Bonfimpt선전 핑안
2003세르히 나고르냐크/Сергій Нагорнякuk산둥 루넝 타이산5
2004다니엘 난스코그/Daniel Nannskogsv쓰촨 관청9
2005저우지에/周杰중국어다롄 스더7
2006한펑/韩鹏중국어산둥 루넝 타이산5
2011루이스 윌헤르미 다 콘세이상 실바/Muriquipt광저우 헝다4
2012라파 조르다/Rafa Jordàes구이저우 런허6
2013피터 우타카/Peter Utaka영어베이징 궈안4[3]
2014샤오즈/肖智중국어허난 젠예5[4]
2015뎀바 바/Demba Ba프랑스어상하이 선화6
2016오바페미 마틴스/Obafemi Martins영어상하이 선화6
에란 자하비/Eran Zahavihe광저우 푸리
알렉스 테세이라/Alex Teixeirapt장쑤 쑤닝
2017오바페미 마틴스/Obafemi Martins영어상하이 선화6[12]
2018조나탄 비에라/Jonathan Vieraes베이징 궈안5[5]


6. 스폰서

wikitable

스폰서십
시즌스폰서연간 가치공식 명칭
1995–2000필립스필립스 중국 FA컵
2001메신 도어¥1,000만메신 도어 중국 FA컵
2002후지필름¥700만후지필름 중국 FA컵
2003블루 리본 맥주¥800만블루 리본 맥주 중국 FA컵
2004¥450만블루 리본 맥주 중국 FA컵
2005–2006스폰서 없음
2011–2013도시바¥1,000만도시바 CFA컵
2014–2022옌징 맥주¥2,000만옌징 맥주 CFA컵


참조

[1] 뉴스 2016足协杯抽签揭晓 60周年历史辉煌 http://sports.163.co[...] sports.163.com 2016-02-04
[2] 뉴스 足协最新决定出炉:为北京奥运让路 足协杯停办两年 http://sports.sina.c[...] sports.sina.com 2006-09-30
[3] 뉴스 足协杯射手榜:乌卡塔4球榜首 孔卡于海并列第2 http://sports.sohu.c[...]
[4] 웹사이트 肖智加冕足协杯射手王 https://web.archive.[...] 2016-05-24
[5] 웹사이트 足协杯颁奖:张稀哲拿下最佳球员 中乙队获黑马奖 http://sports.sina.c[...] sports.sina.com 2018-11-30
[6] 뉴스 颁奖礼于大宝收获最佳球员 王新欣终举起冠军金樽 http://sports.sina.c[...]
[7] 뉴스 里皮最佳教练8024MVP奖东芝电视 鲁能公平竞赛奖 http://sports.sina.c[...]
[8] 뉴스 足协杯奖项:孔卡MVP宫磊最佳教练 人和获公平竞赛 http://sports.sina.c[...]
[9] 뉴스 武汉宏兴赢足协杯黑马奖奖金30万 高洪波最佳教练 http://sports.sina.c[...]
[10] 뉴스 足协杯官方奖项:新疆揽2大奖 佩帅登巴巴获最佳 http://sports.sina.c[...]
[11] 뉴스 足协杯奖项:R马荣膺最佳球员 斯帅获最佳教练 http://sports.sohu.c[...]
[12] 뉴스 足协杯曹赟定夺MVP马丁斯金靴 四强黑马夺两奖 http://sports.sina.c[...]
[13] 뉴스 足协杯赛黑马属谁 http://sports.sina.c[...]
[14] 뉴스 红塔喜获“黑马奖” http://sports.sina.c[...]
[15] 웹사이트 2000年湖北十大足球新闻 https://web.archive.[...] 2018-06-13
[16] 뉴스 足协2011重启足协杯+中超杯 国奥有望出战两项赛事 http://sports.sin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